购买
下载掌阅APP,畅读海量书库
立即打开
畅读海量书库
扫码下载掌阅APP

2.종합한국어 교재의 문화어휘 번역 양상 및 문제점

본고에서는 중국에서 편찬된 종합한국어 교재 중 편찬 지역과 보급률을 고려하여 북경대학교에서 편찬한“韩国语”(1,2,3,4)(‘A교재’로 칭함);상해복단대학교에서 편찬한“初级韩国语”(上下),“中级韩国语”(上)(‘B교재’로 칭함);산동대학교에서 편찬한“韩国语精读教程”(初级上下,中级上下)(‘C교재’로 칭함);연변대학교에서 편찬한“新编初级韩国语〉”(上下),“新编中级韩国语”(上下)(‘D교재’로 칭함),각 대학에서 공동으로 편찬한“大学韩国语”(一二三四册)(‘E’교재로 칭함)등 5종의 교재 총 19권을 사례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교재의 구체적인 예를 통해 한국어 정독교재의 문화어휘 번역 양상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유교문화권에 속하는 중국과 한국은 역사적으로 오랜 시기를 거쳐 교류를 해 왔기 때문에 문화면에서 유사성을 갖고 있다。예를 들면 일부 명절을 나타내는 어휘들은 한국과 중국에 모두 존재하는 문화요소를 담은 어휘들이다.그러나 이미 한국에서 전통문화로 고착이 되었으므로 문화어휘로 간주하고자 한다。

한국어 문화어휘의 중국어 번역은 서양의 번역 기법을 적용하기 힘들다。왜냐하면 중국어가 표음문자가 아닌 표의문자이고,한국어에 고유어 문화어휘뿐만 아니라 한자어 문화어휘도 많기 때문이다。김혜림(2014)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특징을 고려하여 번역 유형을 한자역,의역,혼역,음역으로 구분하고 한자역의 하위 유형에 한자어 한자역과 한자어 대응역,의역의 하위 유형에 의미역,대응역,설명식 의미역을 포함시켰다。그러나 한자어 대응역은 한자역의 하위 유형으로 볼 것이 아니라 의역의 하위 유형에 속한다。본고에서는 김혜림(2014)의 분류기준을 참고로 하여 교재에 나오는 한국어 문화어휘의 중국어 번역 유형을 한자역,의미역,음역,혼역으로 분류하였다。

2.1 한자역

한국어에는 한자어가 60%를 차지하므로 한자어에 대응하는 한자 그대로 번역할 수 있는 문화어휘가 많다.한자역은 한국어의 한자어 문화어휘를 중국어로 번역할 때 동일한 한자로 번역하는 것을 말하는데,이와 같이 동형 한자역을 할 수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하나는 중국어에 한국어의 한자어 문화어휘에 해당하는 同形同義 대응어가 존재하는 경우이고,다른 하나는 중국어에 同形同義 대응어가 존재하지 않지만 한자의 의미를 통해 한국어 문화어휘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가능한 경우이다。구체적인 예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표1 중국어에 同形同義 대응어가 있는 경우

표1의 예는 한국어 문화어휘가 중국어에도 동형동의 대응어로 존재하는 경우로,이는 한국과 중국의 문화 유사성으로 인해 존재하는 어휘들이다.일반적으로 명절이나 절기의 명칭들이 이 경우에 속한다。

표2 중국어에 대응어가 없는 경우

표2의 예는 한국어에만 존재하는 한자어 문화어휘를 동형 한자로 옮긴 번역의 예이다。한자가 갖고 있는 고유의 의미를 통해 한국어 문화어휘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경우에는 추가 설명이 없이 동형 한자어로 번역할 수 있다。그러나 다음과 같은 경우에 동형 한자어로 번역하면 다른 의미로 해석되거나 소통이 불가능하게 된다。

표3 한자역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표3에 제시한 예에서 ‘강남’,‘학원’과 같은 단어는 중국어에도 동일한 한자로 ‘江南’,‘学院’이라는 단어가 있으나 그 의미가 한국어의 단어와 완전히 다른 경우이다.중국어에서 ‘江南’은 ‘양자강 하류 이남의 지역’을 가리키고 ‘学院’은 ‘단과대학’을 가리킨다。그러므로 ‘강남’의 경우에는 한자어로 번역한 후 뒤에 ‘首尔汉江以南地区(서울 한강 이남 지역)’임을 밝혀야 한다。즉 ‘한자역+추가설명’의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학원’은 중국어로 ‘辅导班’,‘学习班’으로 의역을 해야 한다。단어 ‘고시원’을 교재에서 ‘考试院’으로 제시하였는데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자의 고유한 의미에 따라 ‘고시원’을 ‘각종 시험을 주관하는 기관’으로 이해할 것이다。‘고시원’은 원래 ‘각종 고시 및 시험을 준비하는 장기 수험생들을 주 대상으로 하는 좁은 공간의 주거시설’이었으나,사회의 변화와 함께 수험생 이외의 직장인들도 다른 거주 시설보다 싼 까닭에 많이 찾고 있으며 또 경제적으로 어려운 노인,장애인,노동자들도 고시원을 이용하므로 도시 빈곤층의 불안정한 거주지로 자리잡혔다.이러한 한국 사회 현상을 보여주는 어휘들은 어휘 목록에서 간단한 추가설명을 하여 제시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교재에서 ‘한국 문화 지식’이라는 내용 구성 부분을 추가하여 학습자들에게 문화 현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표3에 제시한 어휘들의 바람직한 중국어 번역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표4 바람직한 중국어 번역

2.2 의미역

의미역은 뜻을 살려 번역하는 방법을 말하는데,일반적으로 고유어 문화어휘와 중국어 화자들이 한자의 고유 의미로 단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어려운 한자어 문화어휘의 경우 의미역을 사용한다。아래 구체적인 예를 통해 교재에서의 번역 양상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표5 중국어의 대응어로 번역

위의 예들은 중국어에 대응어가 있는 경우이다.일부 어휘는 중국어에 ‘一对一’ 대응 관계로 대응어가 존재하지만 일부 어휘는 ‘一对多’ 대응관계로 대응어가 존재한다。중국어에 대응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의 예들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하나는 동일 문화어휘에 대해 각 교재마다 제시한 중국어 번역이 서로 다르다는 것이다。예를 들면 ‘온돌’에 대한 중국어 번역이 세 교재에서 모두 다르게 제시하고 있다。이는 ‘一对多’ 대응관계를 갖는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교재에서 제시할 때 가능한 대응하는 중국어 어휘를 모두 제시하여 통일성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다른 하나의 문제점은 일부 어휘 번역이 대응어를 제대로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음영 표시를 한 부분)。그 원인은 한국어 문화어휘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거나 중국어에서 대응어를 제대로 찾지 못하였기 때문이다.‘큰절’은 한국어에서 ‘서서 하지 않고 앉으면서 허리를 굽혀 머리를 조아리는 절’을 뜻한다。그러나 중국어 번역으로 제시한 단어 ‘大礼(혼례와 같은 큰 행사)’와 ‘鞠躬(머리를 숙이고 다리를 굽혀 하는 인사)’는 모두 한국어의 ‘큰절’과 대응하는 어휘가 아니다。중국어에서는 ‘跪拜’라는 단어로 한국어의 ‘큰절’을 나타낸다。‘집들이’는 ‘이사를 하고 나서 손님을 초대한다’의 의미를 나타내는데 중국어 번역으로 제시한 ‘搬家’는 ‘이사를 하다’의 의미만 가지므로 대응 어휘가 아니다。

표6 중국어의 유사 어휘로 번역

위의 예들은 한국어 문화어휘와 아주 유사한 중국어 어휘로 번역한 것이다。예를 들면 한국어의 ‘된장’과 중국어의 ‘黄酱’,한국어의 ‘수제비’와 중국어의 ‘疙瘩汤’이 같은 것은 아니지만 만드는 방법과 맛이 아주 비슷하므로 중국어 화자들에게 익숙한 중국어 유사 어휘로 번역하는 것이 이해하기에 쉽다。

이상에서 중국어에 대응어 또는 유사한 어휘가 있는 경우의 번역 양상을 살펴보았다。한국어 문화어휘에 이와 같이 중국어에 대응 어휘나 유사 어휘가 있는 경우는 많지 않다。다음으로 중국어에 대응어가 없는 경우의 예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표7 함축적 의미에 따른 번역

续表

중국어에 대응어가 없는 경우의 문화어휘 의미역이 비중을 많이 차지하고 여러 가지 문제점도 많이 나타난다。한국 사회에서만 나타나는 문화 현상을 중국어로 번역하되,등가 번역이 이루어져 중국어 화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번역자의 주관적인 요소가 개입되기 때문이다。교재에 제시된 중국어 번역은 가능한 형태적 대응을 실현하기 위한 ‘단어 대 단어’ 번역이 대부분이었다。구체적인 용례 분석을 통해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첫째,일부 한국어 문화어휘에 대한 중국어 번역이 교재마다 달라 통일성을 갖추지 못했다。예를 들면 ‘송편’은 4종의 교재에 나오는데 모두 서로 다른 중국어 번역을 제시하였다。

둘째,한국어 문화어휘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잘못된 중국어 번역을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예를 들면 한국어의 ‘쌈’은 ‘밥이나 고기,반찬 따위를 상추,배추,쑥갓,깻잎,취,호박잎 따위에 싸서 먹는 음식’을 가리키는데 중국어 번역으로 ‘饭团(주먹밥)’을 제시하였다。이는 한국어 ‘쌈’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데서 생기는 오류이다。‘菜包饭’으로 번역하는 것이 음식 재료와 먹는 방법 등 의미를 담고 있어 바람직한 번역이라 할 수 있다。한국어 ‘불고기’는 ‘쇠고기 따위의 살코기를 저며 양념하여 재었다가 불에 구운 음식。또는 그 고기’로 요리의 일종인데 5종의 교재에서 모두 ‘烤肉(불이나 오븐에 구운 고기)’로 제시하였다。중국어에서 ‘烤肉’는 갖가지 고기 구이를 통털어 일컫는 말이므로 학습자들은 ‘불고기’를 ‘고기구이’로 잘못 인식하게 된다。불고기는 ‘살코기를 저며 양념하여 재웠다’의 의미를 살려 ‘秘制烤肉’로 번역하는 것이 좋다。

셋째,한국어 문화어휘에 함축된 의미가 많아 제시된 중국어 번역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송편’은 ‘멥쌀가루를 반죽하여 팥,콩,밤,대추,깨 따위로 소를 넣고 반달이나 모시조개 모양으로 빚어서 솔잎을 깔고 찐 떡으로 흔히 추석 때 빚고 주로 추석에 먹는 음식’의 의미를 갖는다.즉 ‘송편’이라는 하나의 단어에 송편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여러 가지 재료,모양,만드는 방법,풍습 등 다양한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교재에서는 ‘송편’의 같은 말인 ‘송병’의 한자가 ‘松饼’이므로 중국어 번역으로 ‘松饼’을 제시한 경우가 있다。또 ‘떡’,‘찌다’,‘송편의 소’ 등 의미에 초점을 맞춰 ‘松糕’,‘蒸糕’,‘豆沙蒸糕’로 제시한 교재도 있다。그러나 중국어에서 ‘松饼’이란 단어는 ‘머핀’,‘와플’을 가리키므로 중국인 학습자들이 ‘松饼’이란 단어를 봤을 을 때 누구도 이 단어를 한국어 ‘송편’의 의미로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蒸糕’,‘豆沙蒸糕’를 통해서도 ‘송편’이 갖는 의미를 이해하기 힘들다.이런 경우에는 ‘韩式松饼’ 또는 ‘韩式松糕’로 제시한 후 반드시 ‘用粳米面做的月牙形夹馅饼,垫松针蒸,中秋节的代表饮食’과 같은 설명을 각주 형식으로 추가해야 한다。한국어 문화어휘가 함축적 의미가 많은 경우,중국어 번역은 가능한 많은 의미소를 담은 번역을 제시해야 이해에 도움이 된다。그러므로 ‘잡채’는 ‘炒什锦拌粉条’,‘떡볶이’는 ‘辣炒年糕’로,부대찌개는 ‘火腿炖汤’으로 번역하는 것이 낫다。

표8 설명식 번역

중국어에 대응 어휘가 없고 또 하나의 어휘로 설명하기 힘든 경우에는 설명식 의미역이 잘 어울린다。표8은 교재에서 설명식 번역을 한 예를 골라 제시한 것이다。교재에서는 이와 같이 설명식 의미역을 사용한 예는 아주 적다。표8에서 ‘김장철’은 하나의 어휘로 번역하기 어려우므로 설명식 번역이 적합하나 ‘한복’은 직접 ‘韩服’로 번역하는 것이 낫다。그리고 하숙,하숙집은 설명식 번역 앞에 ‘寄宿’,‘寄宿家庭’이란 어휘를 제시하고 뒤에 설명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강강술래’의 경우도 한자역 ‘强羌水越来’를 제시하고 뒤에 추가 설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3 음역

음역에는 중국어 음역과 로마자 표기 음역이 있는데 5종의 교재에서는 모두 중국어 음역의 예만 보이고 그 예가 아주 적다.5종 교재에서 찾은 음역의 예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표9 음역의 예

중국어는 표의문자이므로 외래어 번역에 있어 음역보다는 의역을 많이 한다。특히 한자 문화권 나라인 한국의 문화어휘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위의 예에서 ‘아리랑’은 비록 ‘阿里郎’으로 음역을 하였으나 중국에서 조선민족의 민요로 널리 알려져 있고 익숙한 어휘로 자리잡았으므로 음역을 하는 것이 적절하다。그러나 ‘윷’의 경우,추가 설명이 없이 단순히 ‘尤茨’로만 제시한다면 중국인 학습자들인 ‘윷’이 도대체 무엇인지 알 수 없다。“흥부전”에 나오는 인물 ‘놀부’도 추가 설명이 없이 ‘诺尔夫’로 제시하다 보니 서양인의 이름으로 이해하게 된다。그것은 중국어에서 음역은 주로 영어를 번역할 때 쓰이기 때문이다.그러므로 ‘윷’은 ‘尤茨’로 음역을 하되 ‘韩国传统游戏掷柶戏中的四根木棒’이라는 추가 설명을 해야 한다。‘놀부’는 ‘游夫’로 번역하고 ‘韩国古典小说《兴夫传》的主人公’이라는 추가 설명을 하는 것이 좋다。

2.4 혼역

혼역은 하나의 어휘를 번역하는 데 2개 이상의 번역 방법을 사용한 경우를 말한다。표10의 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표10 혼역의 예

续表

교재에 나타난 혼역의 예는 극히 적다。‘한자역+의미역’을 사용한 예는 ‘강강술래’,‘흥부’,‘임꺽정’이고 ‘밀레오레’와 ‘윷놀이’는 ‘음역+의미역’을,‘민속놀이’는 ‘한자역+의미역’을,‘된장녀’는 ‘의미역+한자역’을 사용한 예이다。“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강강술래’의 한자는 ‘强羌水越来’이지만 위의 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교재마다 제시한 한자가 다르다。‘밀레오레’는 굳이 ‘迷你吾利’로 음역하기보다는 ‘美利来’로 음역하거나 건물에 쓰여 있는 영문 ‘Mileore’를 그대로 사용하고 뒤에 ‘韩国购物大厦’라는 추가 설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윷놀이’는 중국 조선족의 ‘윷놀이’ 민속이 알려지면서 ‘掷柶戏’라는 신조어가 생겨났다。‘민속놀이’의 ‘놀이’는 민속 풍습을 의미하므로 ‘民俗活动’으로 번역하는 것이 좋다。‘된장녀’는 문화 배경 설명이 없이는 이해하기 힘든 어휘이다。그리고 ‘大酱女’보다는 ‘拜金女’로 번역하고 ‘된장녀’가 생겨난 문화 배경을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5종의 한국어종합교재에 나오는 문화어휘의 번역 양상을 살펴보고 나타나는 문제점들에 대해 검토 및 분석을 하였다。 1ECgLybL4TR8kl3tNjFy5THmI5PTItkW/fIfVfeJXee5C65N1Cr9gGITUCcXUJzj

点击中间区域
呼出菜单
上一章
目录
下一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