购买
下载掌阅APP,畅读海量书库
立即打开
畅读海量书库
扫码下载掌阅APP

5.결론

본고를 통해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 번역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인재 양성을 위한 방안을 교육 내적 환경과 외적 환경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번역 인재 양성은 한국 문화 발전을 위한 유일한 대안이 아니며 모든 학생이 번역사가 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그러나 본고가 제안하는 번역 인재 양성 방안의 최종 목표는 전문 번역가 양성이 아니라 전문번역가 자질을 갖춘 한국 문화 번역 인재의 배출이다。이들의 교육적 기반이 일반 대학 한국어과 전공이기 때문이다。다만 한국어 전공자들이 잠재적 번역가로 양성되고 이들을 통해 한국 문화 번역이 활발하게 행해져 양질의 한국 문화가 수용된다면 급격한 문화 이식으로 인한 한국 문화의 부정이나 배타적 인식으로 인한 혐한 현상 발생의 소지를 차단하고 한중 문화 교류의 보다 긍정적인 발전이 가능하리라 본다。

현재 한국에서 공부하는 중국 유학생들은 한국 문화 전파에 매우 큰 잠재력을 지닌 사람들이지만 이들 못지않게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이들이 바로 현재 중국 내 대학에서 한국어를 수학하거나 졸업한 인재들이다。중국에서 점차 늘어가는 한국 문화 연구 추세에 맞게 수준 높은 한국 문화 연구를 수행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한국학이 중국 내 여타 주류 학문과 동등한 경쟁력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어야 한다고 본다。번역 인재를 양성하는 것은 일정한 과정을 거쳐야 하기에 단기간에 가능한 것이 아니며 현재의 중국 내 상황을 보면 번역가의 활동이 빠른 보상으로 이어진다고 보기도 어려운 실정이다。그러나 이러한 노력을 통해 우수한 번역 인재가 양성되고 그들을 통해 한국 문화가 중국 전역에 소개되어 사회적 관심을 얻게 되면 한중 교류의 수평적 발전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리라고 본다。또한 이들이 역량을 발휘하여 우수한 한국 학술 문화가 중국 전역에 소개되어 새로운 인식을 얻게 된다면 한중 교류의 양적·질적 수준은 지금보다 더욱 높은 정도에 이룰 수 있을 것이며 한국 문화 연구가 중국에서 선순환적인 발전을 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본다。

참고문헌

[1]강현화,“한국 문화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 세종학당학습자를 위한 원형적 교수요목 개발을 중심으로”,“언어와 문화”제7권 3호,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2011:1-27.

[2]고암,“통번역대학원의 한국어교육 연구:중국인 학습자의 경우를 중심으로”,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논문,2009.

[3]김도훈·성승은,“번역사 만들기”,한국문화사,2012.

[4]김성곤,“한국문학의 세계화:번역과 홍보를 중심으로”,“비교한국학”5,국제비교한국학회,1999:1-13.

[5]김영수·유영미,“중국과 미국의 한국어 교육 과정 비교 -연변대학교와 럿거스대학교를 중심으로”,“국어교육”150권,한국어교육학회,2015:359-375.

[6]김장선,“춘향전 번역 수용 연구(1939-2010년)”,역락,2014.

[7]배두본,“외국어 교육 과정론-이론과 개발”,한국문화사,2010.

[8]성초림,“국내 통역번역대학원의 한국어교육:관찰과 제안”,“통·번역학연구”18-3,통·번역연구소,2014:361-376.

[9]손지봉,“중국의 번역연구 일고”,“한중인문학포럼 발표 논문집”12,한중인문학포럼,2014:837-857.

[10]송현호,“중국 지역의 한국학 현황”,“한중인문학연구”35,한중인문학회,2012:463-504.

[11]송혜정,“한국어 통번역 과정”,“국제한국어교육학회주계학술발표논문집”,국제한국어교육학회,2013:285-289.

[12]심재기,“한국문학의 세계화 정책:문학번역가 양성을 위한 제언”,“독일언어문학”22,한국독일언어문학회,2003:347-372.

[13]오지혜,“국외 한국어교육의 문학 교재 구성을 위한 언어학습자문학 연구”,“새국어교육”제95호,한국국어교육학회,2013:269-302.

[14]오춘화,“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번역교수의 효율화방안 연구”,“중국학논총”제11집,한국중국문화학회,2001:443-461.

[15]왕단,“한국 인문·사회 도서의 중국어 번역 출판 현황과 전망”,“한중인문학연구”48집,한중인문학회,2015:43-62.

[16]이민우,“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통번역과정 개발 연구”,“한국어교육”제23권 4호,국제한국어교육학회,2012:233-259.

[17]이상섭,“번역 일반론”,“국어문화학교”제1집 제1권,국립국어연구원,1993:1-12.

[18]임형재,“외국인을 위한 통·번역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육 과정 평가 -중·일 학습자의 자가 평가를 중심으로”,“언어와 문화”제12권 3호,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2016:177-203.

[19]임형재·송은정,“외국인을 위한 통번역 목적 한국어 교육 연구”,“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42,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2015:303-332.

[20]장애리,“통번역을 위한 문화 능력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11.

[21]장정윤,“번역 교육 모형설계를 위한 고찰:고급수준 이상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11.

[22]전기정,“중국어 번역 교육의 현황과 향후 교육방법”,“중국어문논역총간”제24집,중국어문논역학회,2009:581-603.

[23]조은숙,“한국어 교육 과정의 설계와 개선 방향에 대하여:중국 대학교의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언어와 문화”제7권 3호,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2011:257-277.

[24]최권진,“통역을 위한 한국어 교수·학습방법 연구”,“이중언어학”제32호,이중언어학회,2006:349-379.

[25]하안나,“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 번역 교육 방안 연구”,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12.

[26]Peter Bush·Kirsten Malmkjaer,이형진·윤선경 역,“문학번역:대학에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한국외국어대학교지식출판원,2015.

[27]GAO XIAOTING,“중국 대학 내 한국어 통번역 학습자 요구분석”,“한어문교육”33집,한국 언어문학교육학회,2015:59-90.

[28]HEWenqi,“중국인 한국어학습자 대상 한중 중한 번역 수업 실태 조사”,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3.

[29]한국교육부 홈페이지 http://www.moe.go.kr/,참고일:2015.02.06.

[30]한국문학번역원 http://www.klti.or.kr/ku_01_07_011.do,참고일:2015.02.06.

[31]중국교육부양광프로젝트플랫폼 http://gaokao.chsi.com.cn,참고일:2016.11.01.

[32]中国外文局翻译专业资格考评中心 http://www.catti.net.cn,참고일:2016.11.01. YOLnwmQoErK1TfP8LRmGy14RaxpezI3mggkrv6B3cinljrMXNhI7CSiptGvVlmqC

点击中间区域
呼出菜单
上一章
目录
下一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