购买
下载掌阅APP,畅读海量书库
立即打开
畅读海量书库
扫码下载掌阅APP

3.중국 대학에서의 번역 교육 현황

본고는 중국 현지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한국어 관련 인재 양성 방안 중에서도 대학 기관을 통해 이루어지는 인재 양성 방안에 관심을 갖고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대학 기관에서는 인재 인프라를 구축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점이다.현재 중국 대학에서는 교육 참여자인 학습자와 교수자 간의 인프라가 충분하게 갖춰져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현재 중국 대륙에서 한국어학과 를 개설한 4년제 대학이 100여 곳이 넘고 매년 약 5~6천 명의 졸업생이 배출된다. 한중 수교 이후 한국어학과 졸업생만도 이미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아져 중국에서의 한국어 인재 인프라는 그 층이 매우 두텁다고 할 수 있다。교수자원 역시 수급이 원활한 것으로 나타났다。송현호(2012:470-473)의 통계에 따르면 중국 내 주요 대학 한국학 관련 학과 전임 교수진 규모가 작게는 3명에서 많으면 20명이 넘는 대학도 있어 현재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각 대학의 교육적 철학과 교수자의 풍부한 교수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잠재력을 일깨우고 수준을 높여 번역 인재로 길러내는 데 충분한 역량을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둘째,중국 대학은 최고의 기관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용성이 크다。이는 중국의 대학이 현재 많은 인재를 배출하고 있을 뿐 아니라 현재까지 책임 있는 교육기관으로서 이미 많은 고급 인재를 양성해 온 경력이 있다는 것이다。그간 형성된 인프라와 각종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가하면 미래 번역 인재에 대한 접근이 보다 쉽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한 번 입학하면 4년 동안의 지속적인 교육 시간을 통하여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번역 인재 양성에서 대학의 역할이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대학은 사회의 최대 지성이 모여 다양한 가능성을 만들어내는 창조적 공간이며“새로운 문화적 정체성과 비평의식을 정교하게 다듬을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상의 여러 요인들을 생각해 볼 때 중국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의 일차적인 현장으로 대학을 절대로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따라서 현재까지 대학에서 이루어진 한국 문화 연구와 보급에 대한 상황을 살펴보고 한국 문화 번역 인재 양성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하겠다。이와 연관하여 중국 대학에서의 번역 교육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1 중국 대학에서의 번역 교육 실시 현황

3.1.1 교육 목표

현재 중국 대학의 교육 목표는 중국 사회가 요구하는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고 최근 번역 교육에 대한 요구도 높아져 학과의 특성과 관계없이 대부분 대학에 1~3개의 번역 과목이 개설 및 운영되고 있다。그런데 그 내면을 보면 한국 문화와 한국학에 대한 내용적 접근보다는 언어 능력과 졸업 후의 취업활동에 관련한 실용성을 부각한 교육번역이 대부분이다。 이는 학습자의 언어 능력 향상이나 졸업 후 취업 활동과 연관된 실용적인 번역 능력 향상에는 긍정적 작용을 하겠지만 인문학적 번역 능력 양성에는 물리적으로 부족한 점이 많다。이러한 교육 목표 아래서의 번역 교육 시스템은 사회가 기대하는 실용 번역 능력 향상에도 부족할 뿐 아니라 전문 분야 영역에 대한 훈련도 부족하여 외교,시사,문학,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대로 된 번역 역량을 발휘할 수 없다。

3.1.2 교수 방법

현재 중국 내 한국어 학과에서는 일반적인 번역 이론과 번역방법을 전수하는 식으로 중한·한중번역을 다루고 있는데 대부분 교수자 중심으로 수업이 진행되며 학생들은 중국어와 한국어 각 언어 차이의 인식을 기반으로 한국어의 어휘,조사,어미 등을 정확하게 구사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학습하고 있다。

3.1.3 번역 교수·학습 시간

한국어과의 번역 관련 수업은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중한번역과 한중번역 2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습 시간은 17주 약 34시간이고 과목당 2학점이다。중국 대학 학제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4학년 8학기제이지만 마지막 학기는 졸업논문 작성 시기로 수업을 이수하지 않는다。교육 과정에서 번역 과목은 3·4학년에 배치되어 있어 3학기 만에 학술성과 실용성을 겸비한 번역 인재로 거듭나기에는 시간적인 어려움이 있다。

3.1.4 번역 교재 현황

일반 언어 교재는 한국어 교재를 중국에서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번역 교재의 경우 한국에서 출판된 교재를 사용하는 예는 보이지 않았으며 현지 교수진과 출판사에 의해 개발된 번역 교재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에서의 한국어 번역 교육과 중국 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번역 교육은 그 교육의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교재를 호환해서 사용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 준다。

본고가 중국 현지에서 출판 보급된 번 역교재(통역,사전류 제외)총 21종 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한중-중한 쌍방향 번역 교재 5종과 중한번역 교재 4종,한중 번역 교재가 12종으로 한중번역 교재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교재 구성은 대부분 통합형 단일본으로 간단한 번역 이론과 번역 기교를 함께 실었고 실용 번역을 중심으로 오류문장(錯誤飜譯)과 교정문장(正確譯文)을 설명과 함께 제시했다。교수요목을 분석한 결과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교수요목을 개발하고 본문을 구성했다기보다 현장에서 자주 사용하는 장르를 중심으로 본문을 구성한 교재가 많았다。

기본 교재 분석 결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번역 교재는 오류 분석 중심의 통합형 교재가 대부분으로 분야별로 연구된 번역 교재가 필요하며 과학적으로 연구된 교수요목에 따라 내용을 구성한 번역 교재 개발이 요구된다 하겠다。이외에 기존 교재 분석에서 다양한 문제들이 도출되었는데 가장 큰 문제는 중국 현지에서 출판된 교재의 경우 내용에서 비규범적 한국어 어휘나 문장이 모범 문장으로 제시된 예가 많다는 것이다。 한국인 저자가 참가하지 않았거나 한국인 전문가에게 감수를 받지 않은 교재에서 어색한 한국어 표현이나 조한(朝漢)·한조(漢朝)번역 교재의 예문에서 볼 수 있는 표현을 모범 번역으로 제시한 예가 발견되었는데 이러한 예는 학습자들의 정상적인 한국어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목표 언어에 대한 정체성의 혼란도 일으킬 수 있어 시정이 시급하다。또 교재에 수록된 양이 지나치게 많다거나 난이도가 높고 각 단원의 학습 목표와 수준,학습량 등의 조절에서 미흡할 경우 학습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예를 들어“韓中飜譯敎程”과“中韓飜譯敎程”은 재판,삼판이 될 정도로 중국 내 많은 학교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책 한 권에 이력서 번역에서 시 번역까지 너무 많은 내용을 담고 있어 가독성과 실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학부 학생들 번역 교재로 적합하지 않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는 현지에서의 번역 교육이 실용성을 강조한 것과 관계있으며 적극적인 문화 소통을 위한 번역 교육 교재와는 인식의 차이가 존재한다고 하겠다。 물론 오류분석을 통해 번역투 문장이나 문법 오류의 화석화를 줄일 수 있다。그러나 내용학적인 면에서 볼 때 기능적 학습교재라는 지적을 면할 수 없다。향후 한국 문화 번역 인재 양성을 위한 교재 개발은 지금까지와 다른 방향의 접근이 필요하며 각 대학의 교육 목표나 교육 과정 등과 잘 부합된 내용으로 교재 개발이 진행되어야 한다。

3.2 중국에서의 번역 교육에 대한 인식

3.2.1 일반적 인식

번역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언어 능력=번역 능력’으로 언어만 잘하면 번역도 잘할 것이라는 생각하기 쉽다。언어 능력을 높이면 번역 능력도 높아질 것이라는 일차적인 생각은 전체 번역 교수·학습과 번역 행위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중국에서의 한국어 번역 교육은 목표어 문화의 이해와 수용이라는 차원보다는 언어교육 차원으로 접근해 왔다。한국어 교육의 경우 중국은 한국어 교육에 대하여 외교적 입장에서 남과 북을 아우를 수 있는 ‘조선어 교육’이라는 생각을 유지하고 있어 ‘조선어 학과’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경우가 많았다。중국에서의 번역 교육은 듣기,말하기,읽기,쓰기 4영역 이외의 제5 영역으로 언어 능력 가운데 하나로 교육하고 있다。이는 번역 교육의 목표가 번역을 통한 목표 언어 문화의 이해라기보다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니 번역을 교육하고 대하는 의식의 문제를 첫 번째로 지적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3.2.2 학계 인식

중국 한국어 교육계에서 한국 관련 서적 독자층 확대를 위한 번역 인재 양성에 대한 인식은 현재 매우 부족한 편이다。한국의 경우도 상황은 비슷하지만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원어민 강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교수자와 학습자가 중국인이기 때문에 한국 문화 보급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번역은 문학과 문화의 재산출로 균형적인 문화 교류와 인재 양성이라는 차원에 번역 교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앞으로 기존 번역 교육에 대한 인식의 재고와 새로운 방향으로의 접근이 모색될 때라고 생각한다。

3.2.3 번역 인프라 구축에 대한 인식

한국 문화 번역 인재 양성에서 인프라 구축은 가장 중요한 문제다。지금까지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언어 교육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고 언어의 활용이 가능한 인재 교육이 양적 성장을 이루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 한국 문화의 정수를 연구하고 소개하는 인재의 양성에는 전문적이고 의식적인 접근이 부족했다。지금까지 중국에서의 한국 문화 관련 번역은 소수의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어 왔다。이들만으로 반만년 역사의 한국 문화를 담은 한국학이나 끊임없이 창작되는 각종 작품을 번역해 내기란 역부족이다。중국 내 한국 문화의 소프트 파워를 강화하려면 한국 문화 번역 사업의 활성화가 우선적으로 시도되어야 한다。국제화를 통해 다양한 문화 번역 활동이 발생하는 현재의 상황을 생각해 볼 때 중국 현지에서 한국을 제대로 소개할 수 있는 한국 문화 번역 인재 양성 시스템 구축과 한국 문화 번역 연구 환경의 재조정은 필연적인 요구라 할 수 있다。 1cvYYFRk+Pjsffcm5fDMyuL2K+h7hfXuDkJxx+v+DGKcjIk93yT/YF8pd3M5L9oi

点击中间区域
呼出菜单
上一章
目录
下一章
×